블록체인
A decentralized, distributed way of managing information across parties who don’t necessarily trust each other but have an interest of common outcome
서로 신뢰하지 않지만 공통의 관심사를 가지는 주체들 끼리 정보(information)를 관리할 수 있는 탈중앙화, 분산화 된 시스템
- 탈중앙화 (분산 시스템)
- 다수의 참여자들이 정보의 유지에 참여함
- immutability(불변성)
- 참여자들이 정보가 무결하다는 것을 직접 입증할 수 있음
- 원장에 기록되는 정보는 삭제되지 않음
- 암호학적인 기술을 통해 트랜잭션이 원장에 추가된 이후로는 수정되지 않았다는 것을 보장
블록체인을 써서 얻는 이점
- 신뢰 비용 절감
- 여러 참여자들(참여자의 단위는 개인이 될수도 혹은 단체가 될수도 있다)이 서로 신뢰를 형성하는 비용 없이 정보를 믿고 공유 할 수 있음
- Smart contract를 통하여 특정 액션에 대한 신뢰 또한 형성할 수 있음
- 신뢰 비용이란?
- 서로간의 신뢰를 형성하는데 필요한 비용을 말한다.
- 예를 들어 서로 다른 두 참여자의 서버끼리 데이터를 공유한다고 했을 때 A가 보낸 요청을 B가 받으면 B는 A가 받은 요청이 맞는지 확인을 해야하고 요청이 중간이 변조되지 않았는지도 확인을 해야 한다. A 또한 내가 요청을 보내는 대상이 B가 맞는지 확인을 해야 하고 경우에 따라 B가 요청을 제대로 받았는지 확인을 해야한다. 신뢰 비용은 이처럼 서로간의 정보를 공유하거나 액션을 취하는 행위에 신뢰를 형성하기 위해 필요한 모든 행위에 들어가는 비용을 뜻한다.
- Single point of failure 문제 해결
- 탈중앙화를 통해 모두가 같은 데이터를 나누어 가짐으로써 특정 지점의 장애로 인해 전체 시스템이 마비되는 single point of failure 문제를 자연스럽게 해결할 수 있음
- 변조 불가한 영구히 기록되는 데이터 저장
- 원장에 기록되는 데이터는 초기 genesis 블록부터 암호학적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변조가 불가능하며 탈중앙화되어 반영구적으로 저장된다
블록체인을 써서 얻는 이점이 아닌 것
아래의 성질들은 블록체인과 함께 따라올 수도 있는 부분이지만 블록체인을 쓰는 목적이 되어서는 안되는 것들이다. 블록체인보다는 다른 방법을 써서 이루는 것이 낫다.
- 기밀성
- 블록체인의 원장은 기본적으로 모든 노드들에게 공개되는 데이터이기 때문에 기밀성을 필요로 하는 데이터를 다루는데 적합하지 않다
- Privacy
- 위에 언급했듯이 블록체인 원장에 기록되는 내용은 모든 노드에 공개되는 내용이므로 개인의 프라이버시를 요구하는 데이터를 다루는데 적합하지 않다.
- 보안성(경우에 따라)
- 블록체인을 씀으로써 얻는 보안, 위변조 방지 등의 효과는 부수적으로 딸려오는 것이다. 오로지 이것만을 위해 블록체인을 도입하는 것은 낭비이며 다른 솔루션을 찾는 것이 더 효율적인 경우가 많다. 즉, 여러 조직간의 신뢰 비용이 없는 경우에 보안을 위해 블록채인을 도입하는것은 적절한 해법이 아니다.
'Blockchain' 카테고리의 다른 글
Klaytn BApp 개발을 위한 API (0) | 2022.09.29 |
---|---|
IPFS(InterPlanetary File System) (0) | 2022.09.29 |